인문지리학의 시선 전종한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지리학은 우리 삶터의 문제이다. 공간이 없는 삶, 터전이 없는 삶은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지리학은 인간의 삶과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관련 교재 pdf 모음
책 소개
지리학은 우리 삶터의 문제이다. 공간이 없는 삶, 터전이 없는 삶은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지리학은 인간의 삶과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삶과 지리를 함께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바로 학교 수업시간에 생겨난 지리학에 대한 편견들 때문이다. 지리 시간에 배우는 내용은 우리를 둘러싼 구체적인 삶이 빠진, 지나치게 추상화된 것들이다.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에 대한 인식 없이 이뤄지는 지리 수업은, 기호로 가득찬 복잡한 지도들만 끊임없이 등장하는 암기과목에 불과하다. 《인문지리학의 시선》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독자들과 함께 우리가 살아가는 삶터를 지리적으로 읽고 교감하고자 집필되었다. 저자들은 전공자뿐 아니라 비전공자에 이르기까지 지리학이 우리의 삶과 관련 있는 이야기라는 점을 알리고 싶었다. 13가지 다양한 주제, 한국의 인문지리학에 맞는 한국의 사례 책은 구체적이고 흥미로운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3장에서 다루고 있는 지도는 지리학을 얘기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전형적인(?) 소재이다. 하지만 《인문지리학의 시선》에서 지도는 지리교과서에 등장하는 지도와는 접근방식이 다르다. 고지도부터 근대 지도, GI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도의 종류를 소개하고, 어떤 필요에 의해 이렇게 다양한 지도가 만들어지는지 알려준다. 한편 지도가 지닌 진실과 거짓, 객관과 왜곡의 문제들을 소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문지리학적 관점 역시 전달한다. 또한 [인문지리학의 시선]은 전공자들이 아니면 쉽게 접할 수 없는 다소 독특한 견해들도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4장에서는 일본의 환경 철학자 와쓰지 데스로우의 풍토론을 재미있게 소개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강력한 왕권을 표현한 산물이라는 우리의 상식과 좀 다른 견해가 도출된다. 사막형 인간은 불규칙한 사막의 지형과 단조로운 환경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오직 인간만이 만들 수 있는 기하학적이고 질서 있는 경관으로서의 피라미드를 원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인문지리학 관련 저서가 대부분 외국책을 번역한 것이었던 데 반해, 이 책은 한국 저자들이 한국의 지리에 초점을 두고 집필하여 인문지리를 우리들의 구체적인 삶터로 끌어왔다. 전통 풍수지리 사상을 다룬 5장, 한국의 촌락지역을 해석한 6장, 한국 도시의 원형인 ‘읍성’을 분석한 7장이 그 대표적인 부분이다. 우리 공간을 우리 눈으로 보려 한 시도다.
인문지리학의 시선 전종한 pdf 다운
제1부 지리적 상상력의 확장
1장 개념에 담겨 있는 지리학의 사고방식 | 박승규
1. 지리학에 대한 선입견과 정설
1) 선입견의 배후
2) 인간의 삶과 밀접한 학문
2. 경계가 흐려지는 지리학의 영토
3. 희미해진 영토에서 지리학의 모습 찾기: 지리학의 개념
1) 위치와 장소
2) 장소와 공간
3) 장소, 공간, 그리고 지역
4) 지역과 경관
5) 시간과 스케일
2장 쟁점으로 읽어보는 지리학사 | 장의선
1. 고대와 중세의 지리학 전통
1) 지방지 전통 vs 수리천문학 전통
2) 고대 지리학의 집대성, 스트라보와 톨레미
3) 중세, 두 개의 지리학: T-O 지도 vs 이븐 바투타
2. 지리상 발견 이후 지리 지식의 체계화와 근대 지리학의 전개
1) 지리상 발견 시대 바레니우스의 고민
2) 순수 지리학 운동
3) 과학으로서의 지리학: 훔볼트 vs 리터
4) 자연지리학 강의: 칸트가 말한 근대 지리학의 성립 논리
5) 『종의 기원』(1859)과 지리학 논쟁 : 환경결정론 vs 가능론
6) 헤트너의 지역론과 슐뤼터의 경관론: 장소적 종합 vs 가시적 경관
7) 코롤로지(chorology): 계속되는 칸트 식의 지리학 성립 논리
3. 현대 지리학의 쟁점과 경향
1) 하트숀의 지역지리학에 대한 쉐퍼의 도전: 전통지리학 vs 신지리학
2) 계량적 인문지리학의 등장 배경
3) 신지리학의 한계와 보완의 노력
4) 새로운 도전: 인간주의 지리학과 구조주의 지리학
5) 지식 생산의 본질과 지리사상사의 평가
3장 지리적 사상(事象)의 재현: 지도 | 장의선
1. 지도는 재현(representation)의 한 방식
1) 지도는 선택적 ‘재현’이다
2) 거짓말은 지도의 태생적 운명
3) 지도와 권력
2. 고지도 읽기
1) 어떤 종류의 고지도가 전해 오는가
2) 고지도를 읽기 위한 코드(codes)
3) 조선 시대의 세계지도에서 읽을 수 있는 조선 사람들의 세계관
3. 근대 지도의 등장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까지
1) 근대 지도란 어떤 것인가
2) 근대 지도로서의 「대동여지도」
3) 현대의 지도 언어들
4) 종이 지도를 넘어 디지털 지도까지: 수치 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GIS)
영화로 읽는 지리 이야기 1 〈모노노케히메〉에 담긴 일본의 ‘종교와 신화’
제2부 장소와 경관의 이해
4장 인간과 자연환경: 이원론을 넘어서 | 전종한
1. 인간 삶터로서의 자연환경
1) 인간 삶의 모태 ‘자연환경’
2) 생태론의 허점
2. 생태론을 넘어 풍토론으로
1) 풍토론에서 보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2) 세 가지 풍토형: 몬순, 사막, 목장
3. 자연환경을 보는 상반된 시선
1) 어머니로서의 자연관 vs 상품 가치로서의 자연관
2) 본질주의적 자연관 vs 구성주의적 자연관
3) 다양한 환경론이 난무하는 가운데 지리학자들의 입장은
5장 풍수 사상의 두 전통 | 박승규
1. 터 잡기 예술인가, 지식 체계인가
1) 풍수 사상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2) ‘터 잡기 예술로서의 풍수’, ‘지식 체계로서의 풍수’
2. 누가 들여왔고, 어떻게 사용했는가
1) 풍수의 기원과 전파
2) ‘어떤 사람’이 풍수를 알고 있었는가
3) 풍수를 누가 ‘어떻게’ 사용했는가
3. 풍수의 잃어버린 전통을 찾아서
6장 촌락 지역의 해석 | 전종한
1. 촌락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1) 촌락이 갖는 의미
2) 사라져가는 우리나라의 촌락
3) 촌락의 개념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2. 촌락의 입지와 형태
1) 촌락은 어떤 장소에서 잘 발생하는가
2)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삶터 선정 기준: 지리, 생리, 인심, 산수
3) 촌락 가옥들의 모이고 흩어짐
4) 이국적 풍경의 촌락 형태: 태안반도의 산촌(散村)
3. 촌락의 공간 구성과 경관
1) 촌락의 공간 구성을 어떻게 들여다 볼 것인가
2) 공간 구성이 독특한 세계의 주요 촌락
4. 우리나라 촌락의 근간: 종족 마을
1) 종족 마을의 주인공 ‘종족 집단’
2) 종족 마을은 언제, 어떤 배경에서 등장했는가
3) 종족 마을의 공간 구성
4) 종족 마을의 경관이 내포한 의미와 전략
7장 한국 도시의 원형 ‘읍성’ 취락 | 전종한
1. 성곽의 나라 ‘조선’
1) 한반도에 얼마나 많은 읍성이 있었는가
2) 인근의 산성으로부터 옮겨온 조선 초기 읍성
3) 읍성의 입지에 관여한 조건들
2. 읍성 안의 경관과 장소
1) ‘중앙 권력’을 상징하는 읍성 vs ‘멸시의 공간’으로서의 읍성
2) 읍성 안에 자리했던 경관과 장소들
3) 경관 배치의 기본 원리
4) 경관의 상징성과 경관 배치의 지역적 차이
3. 읍성은 언제, 어떻게 사라져갔는가
1) 일제 강점기에 침입한 새로운 ‘사물의 질서’
2) 전통 경관의 소멸과 기능 변화
3) 일본인의 읍성 유입에 따른 공간 구조의 변형
4) 읍성 취락의 사회ㆍ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8장 장소와 경관을 새롭게 읽기 | 전종한
1. ‘다름’을 찬미하는 포스트모더니즘
1) 우리 주변의 포스트모더니즘
2) 포스트모더니즘이 주목하는 ‘지역적 차이’
3) ‘후기 근대(post-Modernism)’인가, ‘탈근대(Post-modernism)’인가
2. 경관과 장소의 해체적 읽기를 위하여
1) 해체하여 읽는다는 것
2) 사회ㆍ공간적 실천의 포착에 의한 권력 읽어내기
3) 텍스트로서의 경관과 장소
4) 경관과 장소를 해체적으로 읽기
3. 경관과 장소의 마케팅: 그 재현의 의미와 한계
1) 웰빙, 지방화, 자본주의의 합작품 ‘경관ㆍ장소 마케팅’
2) 경관ㆍ장소 마케팅의 유형
영화로 읽는 지리 이야기 2 〈파 앤드 어웨이〉에서 읽는 유럽인과 북미 인디언의 자연관
제3부 근대적 공간의 설명
9장 인구 현상의 공간적 전개 | 전종한·서민철
1. 인구 현상의 지리적 이해
1) 인구, ‘그냥 사람 수’가 아닌 ‘특정 시·공간에 존재하는 사람 수’
2) 인구 현상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는 왜 중요한가
2. 사람들은 어디에 많고 어디에 적은가
1) 세계의 인구분포와 주요 요인
2) 인구밀도, 그리고 세계의 인구 밀집 지역과 인구 희박 지역
3. 인구이동: 사람들은 왜, 어디로 이동하는가
1) 인구이동의 요인과 역사적 주요 사례
2) 인구이동의 여러 유형과 최근의 인구이동
4. 인구의 변천
1) 인구의 증가와 감소
2) 인구 변화의 측정
3) 인구 변천 이론
5. 인구의 구성
1) 성비
2) 인구 부양비
3) 인구 피라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