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문화라는 영역에 첫발을 들여놓는 독자들의 입문서이자 대중문화를 알고자 하는 사람들의 교양서인 ?대중문화의 이해?는 1998년 초판 발행 이후, 대중문화
관련 교재 pdf 모음
책 소개
구조주의에서 중요한 것은 구조이지 인간이 아니다. 구조는 늘 인간에 앞서 존재하며 인간은 구조의 그물망 속에 갇혀 있으면서 구조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동적 존재일 뿐이다. 알튀세르를 포함한 구조주의적 문화 분석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이것이다. 문화의 의미는 늘 인간 바깥의 어떤 요소(그것이 텍스트 내의 요소들 간의 관계이든, 언어든, 이데올로기든)에 의해 생성된다. 인간은 그 다른 요소들에 대해 수동적인 객체의 모습으로만 존재한다. 그렇게 보면 인간의 주체적 실천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해 온 역사는 부정될 수밖에 없다. 앞서 말한 바처럼 구조주의는 늘 현재의 구조에 집중해 왔지, 인간과 인간에 의해 추동되어 온 역사적 변화에 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았다. 흔히 구조주의가 반인간주의적이고 반역사적이라고 비판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무엇보다도 세대 담론 자체의 함정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앞서 말했듯이 특정한 세대를 특정한 명칭으로 호명하는 것은 대부분 기성 언론과 지식인, 정치권, 기업들이다. 이들은 각자의 관심과 이해관계에 따라 젊은 세대를 규정하고, 정치적으로든 경제적으로든 이용하고자 한다. 2020년대 들어 자주 호명되고 있는 이른바 ‘이대남’, ‘이대녀’, ‘MZ세대’ 같은 명칭이 대표적이다. 사회 전체의 구조 속에서 세대와 계급, 젠더 같은 범주들이 교차하면서 길항하는 양상을 제대로 보지 않고 외부적으로 규정되는 세대 담론에 의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pdf 다운
제1부 ? 문화와 대중문화
01문화란 무엇인가
02대중문화란 무엇인가
03대중문화의 생산과 소비
04서구 근대 대중문화의 형성과 변화: 인쇄술에서 디지털까지
05한국 대중문화의 형성과 변화
제2부 ? 대중문화의 이론
06대중의 취향과 대중문화의 미학: 대중문화에 관한 엘리트주의적 관점
07마르크스주의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화이론
08구조주의와 기호학, 주체구성의 이론
09문화주의와 문화연구, 헤게모니 이론
10상징권력과 문화자본: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
제3부 ? 대중문화와 21세기 한국 사회
11대중문화와 세대
12디지털혁명과 대중문화
13대중지성과 시민사회
14지구화 시대의 한류
15대중문화와 표현의 자유 그리고 정치적 올바름의 문제
제4부 ? 대중문화, 대중 주체의 문화
16대중문화, 스토리텔링과 카타르시스의 즐거움
17스타시스템과 팬덤의 문화정치학
18대중문화 시대의 스포츠
19육체의 문화, 성의 문화
20호모루덴스, 문화의 주체가 되기 위하여